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주가지수와 경제현상 인플레이션 이해하기

by BRAVE83 2023. 12. 30.

주가지수의 뜻과 종류

 

코스피지수 

코스피 (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는 한국 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매출 등 규모가 큰 종목을 대상으로 산출하는 종합지수로 유가증권시장의 대표지수입니다. 상장된 회사들의 주식에 대한 종합인 시가총액의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비교하여 나타낸 지표입니다. 1980년 1월 4일의 시가총액을 분모로, 산출시점의 시가총액을 분자로 지수화하여 계산입니다. 이 중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큰 200개 종목을 모아 만든 지수를 코스피 200이라고 합니다.

 

코스닥지수 

코스닥 (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주가에 주식수를 가중한 시가총액지수로, 코스닥시장 전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지수입니다. 첨단 기술주 중심인 나스닥시장을 본떠 만든 것으로 중견기업과 벤처기업 등이 상장해 있습니다. 코스닥을 대표하는 50개 주식 종목을 뽑은 코스닥 50 지수도 있습니다. 1996년 7월 1일을 기준치 100으로 하여 1997년 1월 3일부터 산출발표하고 있습니다. 

 

다우지수

다우지수 (DJIA: Dow Jones Industrial Average)는 미국 다우존스사의 공동 창립자이자 월스트리트 저널의 편집장인 찰스 다우가 채택한 주가지수로, 미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30개의 우량주식을 표본으로 시장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하는 세계적인 주가지수입니다. 

 

나스닥지수 

나스닥지수 (NASCAQ: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y Dealers Automated Quotations)는 나스닥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3,000개가량의 주식을 가중평균하여 나타내는 미국 증시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입니다.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아마존 같은 빅테크 기업의 주가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나스닥 100 지수는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 중 100개의 우량기업만을 모아 만든 주가지수입니다. 

 

S&P500 지수

S&P500 지수 (Standard and Poors)는 미국의 국제신용평가 회사인 스탠더스 앤드 푸어스에서 개발한 주가지수이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종합지수와 더불어 미국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입니다. 뉴욕증권 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는 500개의 우량종목을 대상으로 합니다.

 

 

화폐 사진

 

경제현상 용어

 

인플레이션 (Inflation)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을 말합니다.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전반적으로 꾸준히 오르는 현상입니다. 인플레이션은 경기과열로 인한 수요견인 인플레이션과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인한 비용상승 인플레이션으로 나뉩니다.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일반적으로 성장하는 경제에 발생하며, 수요가 갑자기 오르면서 물가도 같이 오르는 현상

-비용상승 인플레이션: 세금, 임금, 금융비용, 원자재 가격, 유통비용 등 상품 원가를 구성하는 항목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

 

디플레이션 (Deflation)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 등의 물가 수준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경제의 한 부분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것입니다. 디플레이션의 원인은 자산가격 거품의 붕괴, 과잉설비, 과잉공급, 생산성 향상 등이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반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과 경기과열이라면, 디플레이션은 물가와 경기가 가라앉는 무기력한 상태입니다. 디플레이션 상태에서는 일정한 급여와 소득을 얻는 근로자, 수출업자, 금전 채권자에게는 유리한 소식이지만, 생산자, 금전 채무자, 수입업자에게는 불리합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통화량이 줄어들어 물가가 폭락하고 경기가 침체됩니다. 따라서 주식, 부동산 자산 가치가 떨어지고 생산과 소비도 위축됩니다.

 

리플레이션 (Reflation)

경제가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났지만  심한 인플레이션까지는 이르지 않은 상태를 뜻합니다. 통화를 재팽창시키는 것으로 불황기인 디플레이션을 벗어나 인플레이션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금융의 완화정책, 재정의 확대를 하여 경기의 회복, 확대를 도모를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상승)을 합성한 신조어로 경제침체, 불황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되는 상태가 발생하는 저성장과 고물가 현상입니다. 경기가 침체되어 수요가 감소하여도 오히려 물가가 오릅니다. 정도가 심하면 슬럼프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