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주식 매매 원칙과 종목 선정 분석표 작성 방법

by BRAVE83 2023. 12. 31.

오늘 포스팅은 "마흔 살에 시작하는 주식공부 5일 완성"의 실전 편으로 주식 매매원칙 10가지와 종목선정 분석표 작성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가치투자 및 중장기 투자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단기 투자를 하신다면 월 3일 내로만 투자, 기술적 분석은 기본만, 손절매란 없다와는 안 맞으실 수 있습니다. 시장이 상승추세로 좋은 장이 올 때엔 중장기 투자가 효자 역할을 한다고 봅니다. 기본적인 개념을 공부하고 실전에서 사용하셔서 성공 투자가 되실 수 있길 바랍니다.  

 

10가지 주식 매매 원칙

 

1. 손절매란 없다.

손절매가 습관화되면 내 생각이 없다. 손해 구간은 투자 기회이다.

 

2. 실적, 배당 기반 저평가 회사에 집중한다.

미래 PER + 시가 배당률을 체크한다.

 

3. 기술적 분석은 기본 개념만 알아두자.

거래량, 캔들, 이동평균선, 지지 저항선 개념만 알아도 충분하다.

 

4. 충동구매는 사절.

이성적 분석 후 감성적 욕망이 꿈틀대면 공격 개시한다.

 

5. 월 3일 내에 투자한다.

시세 확인과 잦은 매매를 지양하는 느림보 투자자가 되자.

 

6. 3종목 이내 투자한다.

한번 매수한 종목은 잠시 헤어짐은 있어도 평생의 동반자다.

 

7. 최대 투자 규모는 연봉 이내로 한다.

전문가가 되기 전까지 과하게 투자금을 늘려서는 안 된다.

 

8. 분할매수와 분할매도

30~50% 이내 최초 매수하고 손실 시에만 추가 매수한다.

매도 확신이 없다면 분할매도가 답이다.

 

9. 외인, 기관과 투자 동행

외인, 기관은 내부 통제도 철저하고 기업 가치에 기반한 투자를 한다.

이들의 출현은 시장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므로 대량 순매수하는 종목에 관심을 갖자.

 

10. 수익난 날은 시세판을 끄자.

승리감에 평정심을 읽고 충동투자하기보단 긴장의 끈을 풀고 행복을 만끽한다.

 

 

샌드타이거 샤크의 종목선정분석표
사진1- 샌드타이거 샤크의 종목선정 분석표

 

 

종목선정 분석표 작성방법

 

1. 당기순이익

- 3년전부터 예측(E)까지 작성

- 매출액, 영업이익 추이 리스크

- 4분기 전부터 예측(E)까지 작성

 

*참고: 당기순이익은 1년간의 회사 순이익으로 1단계로 가장 중요한 요인입니다. 당기순손실, 영업소실은 탈락 요인이며, 3년 동안 흐름이 적자에서 이익으로 전환된다면 긍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시가총액

- 발행 주식수

- 교부 예상 주식수

- 현재 주가

- 시가총액

 

*참고: 시가총액은 기업의 상장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총액으로, 주식수와 주가의 곱셈입니다. 즉 기업의 규모와 가치를 나타내며, 시가총액을 '기업가치'라고도 부릅니다. 

 

 

3. 미래 PER

- 시가총액/ 예측 연간 당기순이익

 

*참고: PER은 시가총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주가는 미래의 회사 가치를 선반영 하기 때문에 과거보다 미래 PER이 더 의미 있고 중요합니다. 따라서 미래 실적에 따른 미래 PER을 구해야 합니다.

 

 

4. 재무비율

- 3년전부터 1분기 전까지의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참고: 부채비율= 부채총액/ 자기 자본: 낮을수록 좋으며, 100% 이하의 회사에 투자

당좌비율= 당좌자산/ 유동부채: 높을수록 좋으며, 100% 이상의 회사에 투자

유보율= 잉여금/ 자본금 : 높을수록 회사자금이 많고 재무구조가 튼튼함을 의미

 

 

5. 공시, 뉴스

- 호재

- 악재

 

*참고: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를 참고.

호재: 고배당, 자사주 매입, 무상증자, 특허 취득, 신제품 개발, 실적개선, 정부정책, 지수 신규편입, 액면분할, 리포트 매수추천, 경영권 분쟁 등

악재: 관리종목 지정, 감사의견, 규제강화, 실적악화, 소송, 횡령, 유상증자, 무상감자, 최대주주 고점매도, 사채발행 등

 

 

6. 시가 배당률

- 시가 배당률= 예측배당/ 현재주가

- 3년전부터 예측(E) 배당까지

 

*참고: 배당을 많이 주는 회사는 당기순이익이 발생하는 우량회사로 수익이 많고 실적이 개선되는 등 호재가 많습니다. 

 

 

7. 지분율

- 최대주주 및 5% 이상 지분율 추이

- 기관, 외인 특이사항

 

*참고: 최대주주, 외국인, 기관의 지분 변동추이를 확인합니다.

 

 

8. 매출채권 회전율, 재고자산 회전율

- 3년전부터 최근까지 몇 회인지 체크

 

*참고: 매출채권의 회전율= 매출액/ 매출채권

회전율이 증가한다면 투자 주의. 3년간 큰 변화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가 좋습니다.

재고자산의 회전율=매출액/ 재고자산

재고자산 회전율이 증가한다는 건 재고자산이 줄어들고 있다는 뜻이어서 높을수록 좋습니다. 

 

 

9.. PBR

*참고: PBR= 시가총액/ 자기 자본

PBR은 주가순자산비율로 PBR이 낮을수록 자산이 주가 대비 높아서 저평가로 평가됩니다. 

 

 

10. 나의 생각 작성하기

매도이유와 매수이유를 생각하고 스토리텔링을 합니다.

 


 

종목선정 분석표는 책에 있는 표(사진 1)를 기반으로 차근차근 작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작성하다 보면 매수를 할지 보류를 할지, 보유하고 있던 종목인데 손실 중이라면 홀딩, 물타기, 손절 중 어떤 걸 선택해야 할지 큰 그림이 보이실 겁니다. 올해 6월에 이 책을 읽고 보유 중인 종목을 작성해 보았고, 긍정적으로 보여서 홀딩하기로 나의 생각에 작성하였습니다.(참고-사진 2) 작성하시면서 주식에 한걸음 더 가까워지는 계기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종목선정 분석표
참고 사진2- 종목선정 분석표